국내에 피터 드러커 사상을 많이 소개하셨던 이재규 교수님의 유작이다. 책 앞부분에 아내되시는 분이 쓴 글을 보니 마음이 찡하다.
아마 지금쯤 하늘나라에서 그렇게 닮고 싶어 했던 드러커 박사님을 만나 "박사님 뵙고 싶어 모든 것을 뒤로 하고 달려왔습니다" 하며 말씀을 나누고 계신지도 모르겠습니다. 박사님 앞에 이 책을 내놓으면서 "박사님, 당신의 사상을 전파하려고 애를 많이 썼습니다."라고 하시겠지요. - p.13
2011년 7월 25일 이 책의 원고를 마지막 교정하여 출판사에 보냈고 다음달인 8월 8일 소천하셨다니 암 투병중인 분으로써 초인적인 힘을 발휘한게 아닐까 싶다. 이 책을 통해 피터 드러커의 사상을 한권으로 압축하고자 노력한 저자의 모습이 그려진다. 개인적으로 몇년전에 참석한 세미나에서 이 책의 저자인 이재규 교수님의 강연을 들을 기회가 있었는데 그것이 살아생전의 모습을 본 처음이자 마지막 날이 되었다.
책의 전체 3분의 2는 인문예술경영에 대한 화두를 던진다. 문학(2장), 역사(3장), 철학(4장), 음악(5장), 미술(6장) 등 피터 드러커가 추구했던 인문예술과 경영의 컨버전스를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 준다.
특히 1장에서는 피터 드러터가 평생동안 주장했던 지식혁명, 지식재산, 지식근로자 등 '지식'에 초점을 맞추어 지식사회에 대해 설명한다. 1장의 내용은 자기계발서의 내용과도 유사하게 지식사회에서 지식인 그리고 리더의 역할을 정의한다. 리더에서 요구되는 것은 자신이 하지 못하는 일에 대해서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인정할 수 있는 힘, 즉 지적성실성이다. 바로 유능한 리더는 유능한 동료를 격려하고 밀어주는 한편 그들을 자랑으로 여긴다.
드러커는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좋은 방법은 그 미래를 만들어버리는 것이다"라고 이야기했다. 지식사회에서 지식근로자는 자신의 인생방향을 스스로 결정하고, 성공 또는 실패에 대한 책임을 스스로 져야 한다. 따라서 지식사회에서 지식근로자는 목표설정이 중요하며 자신의 미래를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오늘날의 지식근로자는 다음과 같이 질문하는 것을 배워야 한다.
"내가 마땅히 '공헌해야 할 것'(should contribute)은 무엇인가?"
그런 다음에는 또 이렇게 질문해야 한다.
"그것은 나의 강점에 부합하는가? 그것은 내가 원하는 일인가? 그것으로 보람을 느끼고 도전의식을 느끼는가?" - p.63.
두번째 장은 문학에 대한 이야기이다. 갑자기 뜬금없이 웬 문학이냐 라고 할 수도 있지만 저자는 드러커의 통찰력과 선견력이 문학에서 나왔다(p.67)고 결론을 짓고 있다. 그러면서 드러커의 저술에 등장하는 소설과 작가를 찾아서 정리하고 있다. 예를 들어 <경제인의 종말>에서는 히틀러의 <나의 투쟁>을 주로 인용했으며, <격변기의 경영>에서는 셰익스피어의 희곡 <템페스트>를 인용했다. 드러커의 2002년 저술인 <넥스트 소사이어티>에서는 단테의 <신곡>, 디킨스의 <황폐한 집>, 조지 엘리엇의 <미들마치>, 그 이외에 헤시오도스, 베르길리우스, 세네카, 발자크 등의 작품을 인용하였다. 대부분 서양고전작품들이 인용되고 있는데 저자의 이야기대로 통찰력은 한순간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고전을 읽고 간접경험을 통한 지식을 축적함으로써 생긴다는 사실을 일깨워준다.
문학, 역사, 철학, 음악, 미술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문예술적 지식전달을 마치고 나면 기업의 목적(7장), 혁신과 기업가정신(8장), 지식생산성 향상방법론(9장)에 대해 논의하고 마지막으로 10장에서 책의 제목과 같은 '미래는 어떻게 오는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기업의 목적이 경영자의 사리사욕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공공의 이익을 추구해야 하며 그럼으로써 사적 이익으로 귀결되도록 기업을 경영해야 한다고 드러커는 주장했고 저자도 그의 말을 인용하고 있다. 최근의 금융자본주의를 위시한 자본주의의 몰락을 경고하는 메시지도 결국 자본주의가 비효율적이거나 방향이 잘못되었기 때문이 아니라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벽에 부딪혔기 때문이다(p.474).
8장의 '혁신과 기업가정신'은 혁신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로 출발한다.
세계 역사에서 중요한 사실은 '로마는 천 년 동안 지속되었다'는 것이 아니다. 중요한 것은 천 년 로마도 멸망했다는 것이다. - p.479
혁신은 한마디로 '위험하다'. 상당한 변화를 일으키며 고도의 위험을 동반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혁신가는 위험을 내용을 파악하고 그것을 넘어서는 위험을 추구하지 않음으로써 성공한다(p.522). 성공한 혁신가는 보수적이며, '위험'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기회'에 초점을 맞춘다. 그래서 혁신은 간단해야 한다. 복잡하면 그것을 개선하거나 수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혁신은 바로 이런 것이야, 라고 하는 문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이것은 틀림없어. 어쩌다 이런 생각을 진작 못했지?" - p.523
우리가 과거에 윈도우라는 운영체제를 처음 사용하면서, 이메일을 처음 사용하면서, 웹브라우저를 통해 웹사이트를 서핑하면서, 아이폰을 사용하면서 느꼈던 생각들 아닌가? 이것이 혁신이다.
대학에서 경영학개론 과목을 공부하기도 했고 또 최근에는 강의도 해보았지만 일반적인 경영학개론 교과서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경영학 지식을 습득할 수 있었다. 드러커의 다양한 저술을 고도로 압축해 놓은 요약집과도 같다. 드러커의 많은 책들을 이 책을 통해 모두 이해할 수는 없지만 이 책을 통해 조금이나마 드러커의 철학과 사상을 엿볼 수 있어서 아주 유익한 책이었다. 경영학을 전공하는 학생이라면, 경영에 대해 관심이 있는 회사원들이라면 반드시 읽어보아야 할 필독서로 추천하는 바이다.